알아두면 좋은 토막상식과 응급처지! 2탄
◎ 삐거나 타박상에는
삐거나 타박상을 입어서 통증이 있지만 병원에 가야 할 만큼 대단한 것이 아닐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간단한 습포로 통증과 부기를 없앨 수 있습니다. 한 컵 정도의 소금과 식초를 한 숟가락씩 더운물에 타서 잘 녹인 다음 가재에 적셔 가볍게 짜서 환부에 습포를 해줍니다. 원만한 경우라면 이렇게 5~6차례 하는 동안에 대개는 가라앉게 됩니다.
◎ 화상을 입었을 때
치료의 원칙은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덴 부위를 깨끗한 수돗물 속에 담가 식히는 것입니다. 통증이나 열감을 느끼지 않을 때까지 보통 10~15분간 식혀야 합니다. 옷을 입은 부위에 화상을 입었을 때에는 옷을 입은 채로 물로 식힙니다. 옷이 환부에 달라붙어 있더라도 무리해서 때려 하지 말고 그 상태로 그대로 의사에게 찾아가도록 합니다. 충분히 환부를 식힌 뒤에는 깨끗한 가제로 살짝 덮어 둡니다. 물집이 생기더라고 터뜨려서는 안 됩니다. 만일 감염이 되면 치료가 더디어지기 때문입니다. 덴 자리에 물집이 생겼을 때는 감자를 강판에 갈아서 환부에 습포를 하면 빨리 낫습니다. 이것은 산성화한 환부의 피부에 감자의 알칼리 성분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또 가벼운 화상일 경우, 환부에 오이즙을 짜서 발라도 좋습니다.
◎ 과식해서 소화가 되지 않을 때
※ 파인애플: 과식을 해서 소화가 되지 않을 때는 파인애플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파인애플에는 단백질 소화를 돕는 효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무: 야식을 주문하게 되면 자주 나오는 찬이 바로 '무'입니다. 무는 소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무에는 이아스타아제라는 성분이 있는데 이 성분이 바로 소화에 도움이 되는 효소입니다. 특히 밀가루 음식을 먹었을 때에는 무를 꼭 챙겨 먹는 것이 잘 소화되지 않는 밀가루를 소화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매실: 매실은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음식입니다. 매실청이나 진액을 물에 희석해서 먹게 되면 속이 불편한 것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매실 진액은 미지근하거나 따뜻한 물에 섞어서 먹는 것이 좋습니다. 매실은 소화가 잘 되지 않는 것뿐만 아니라 식중독 등의 증상을 예방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여름에 자주 먹으면 도움이 됩니다.
※ 양배추: 양배추는 위장에 도움이 되고 속을 편안하게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양배추의 경우에는 평소에도 찬으로 먹을 수 있고 즙 등으로 먹을 수 있어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소화 촉진 음식입니다.
◎ 발의 피로를 푸는 방법
평소에 많이 걷지 않던 사람이 오랫동안 야유회를 가거나 굽이 높은 신을 신도 다닐 경우 발이 몹시 피로해집니다. 이럴 경우에는 맥주병을 밟고 서서 손을 넘어지지 않도록 기둥이나 문고리를 잡고 제자리걸음으로 병을 굴려 봅니다. 이렇게 몇 번 하고 나면 발의 피로가 깨끗이 풀립니다. 또 소금을 탄 따뜻한 물에 발을 얼마 동안 담그고 있는 것도 발의 피로를 푸는 좋은 방법입니다.
◎ 감기에 걸려 목이 아플 때
감기에 걸려 기침을 할 때라든가 편도염 때문에 목이 아플 때에는 양파를 썰어 가제에 싸서 목에 감아 두면 편해집니다. 기침이 나거나 목이 아픈데 대한 직접적인 요법으로는 양파의 생즙을 짜서 물을 5배쯤 섞어 묽게 한 다음 쓰는데 하루에 몇 번이든 목의 안쪽까지 넣고 양치질을 하면 됩니다.
◎ 변비 퇴치 민간요법
당근&소금 :당근을 갈아서 우유와 함께 마시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먹기 쉬울 뿐 아니라 비피더스 균의 생육에도 효과가 큽니다. 장 속의 비피더스 균이 불어나고 그 기능이 활발해지면 변비도 없어지고, 장 속의 다른 병의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강판에 간 당근을 많이 넣은 야채수프를 마셔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나치기 쉬운 암 증상 10가지! (0) | 2017.05.07 |
---|---|
무료로 휠체어 대여받을 수 있는 곳~ !! (2) | 2017.05.06 |
알아두면 좋은 토막상식과 응급처치! 1탄 (0) | 2017.04.10 |
한국인에게 부족한 영양소 10가지 (0) | 2017.04.08 |
잇몸이 나빠져 생기는 여러 가지 질환 (0) | 2017.04.06 |